DB: 3개의 글

컬럼기반 Database 학번이름전화번호 101 김하나 010-1111-1111 102 이둘 010-2222-2222 103 석삼 010-3333-3333 위와같은 예제 데이터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할때, Row base/ Column base DB가 각각 어떤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우 기반 DB data : “101;김하나;010-1111-1111,102;이둘;010-2222-2222;석삼;010-3333-3333” 위와같이 Row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게됩니다. 컬럼 기반 DB data1 : “001:101,002:102, 003:103” data2 : “001:김하나, 002:이둘, 003:석삼” data3 : “001:010-1111-1111, 002:010-2222-2..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DBA가 아니더라도 요즘 개발자들의 기본 덕목(?)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어느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죠. 데이터베이스 관련된 많은 기술중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ERD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저 역시 DBA가 아니며, 개발에서 손 땐지도 한참이 지나 ERD를 제대로 그릴 자신이 없습니다. 같이 공부해 나가면서 내용을 공유하면 좋을거 같네요.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지적해 주세요. 바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ERD란 말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것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여기서 '존재하고 있는 것들'이란 데이터들이 되겠지요. 어떤 데이터와 데이터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가장 일반적이고 ..

이번에 다루어볼 내용은 몽고디비에서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이다. 백업하기(덤프, dump) 몽고디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mongodump라는 명령어로 몽고디비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 mongodump --host 127.0.0.1 --port 27017 위 명령으로 데이터를 백업한다면, 현재 디렉토리에 /dump 디렉토리가 생기고 이 디렉토리 밑에 데이터가 복구되어 있다.(DB 별로 폴더가 생겨있고, 그 폴더안에 BSON으로 데이터가 백업되어 있다.) > mongodump --out ~/mongo_backup --host 127.0.0.1 --port 27017 --out 옵션으로 데이터 백업의 디렉토리 위치를 정해줄 수 있다. > mongodump --out --host 127.0.0...